최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제에 정답이 없다는 주장이 나온 데 이어 이번엔 정답이 2개인 문항이 있다는 서울대 사범대 교수의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수능 국어 3번 문항의 정답이 두 개이고 지문에도 오류가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이 교수가 지목한 지문은 독해 능력을 해독과 언어 이해로 단순화해 설명한 필립 고프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전 명예교수의 '단순 관점'을 다룬 글이다.
해당 지문에는 '(단순 관점에서는) 해독이 발달되면 글 읽기 경험을 통해서도 언어 이해가 발달될 수 있으므로 해독 발달 후에는 독서 경험이 독해 능력 발달에 주요한 기여를 한다고 본다'는 문장이 나온다.
이 교수는 그러나 고프의 단순 관점에서 말하는 언어 이해는 읽기 능력이 아닌 '듣기 능력'이므로 해당 문장은 틀린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글 읽기 경험을 통해 언어 이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말 자체가 단순 관점 이론에서는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해당 지문을 읽고 푸는 문항인 3번은 언어 이해(듣기 능력)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 A와 해독 능력이 부족한 학생 B를 제시한 뒤 단순 관점을 바탕으로 이들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찾으라고 요구한다.
수능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공개한 정답은 4번 '갑은 학생 B가 단어를 올바르게 발음하지는 못하지만, 글 읽기 경험을 통해 중심 내용은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하겠군'이다.
하지만 3번인 '갑은 학생 A의 언어 이해가 구어 의사소통 경험뿐 아니라 글 읽기 경험을 통해서도 발달될 수 있다고 생각하겠군' 역시 틀린 말이어서 정답으로 봐야 한다는 게 이 교수의 주장이다.
단순 관점에서는 글 읽기 경험으로 언어 이해 능력을 향상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즉 지문에서만 정답을 찾는다면 정답은 4번 하나이지만, 지문과는 상관 없이 문제만을 놓고 본다면 3번과 4번이 모두 정답이라는 말이다.
이 교수는 읽기와 언어 관련 이론을 주전공으로 한 학자로 특히 해당 지문에 나온 고프의 단순 관점을 10년 넘게 연구·강의해왔다.
그는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출제자들은 지문을 토대로 (하면) 3번도 맞는 진술이라고 주장할 것이나, 지문 속 단순 관점 이론에 대한 설명이 틀렸기 때문에 3번도 자연스럽게 틀린 내용이 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도 "수능이 지문에 있는 내용으로 정답을 찾는 시험이라는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하지만 국가에서 낸 시험에서 소개한 이론이 잘못됐다면 이는 문제가 된다"고 짚었다.
이어 "전공자가 많지도 않고 국어 교육계나 국문학계에서는 관심도 별로 없는 소재를 왜 수능에 출제하는지 의문이 든다"면서 "시험에는 타당성이 있어야 하는데 현 수능 국어 비문학 지문은 고3 학생에게 '난수표' 같은 글을 보여주고, 아이들은 이를 이해하는 게 아니라 답만 맞히려 한다"고 비판했다.
올해 수능 국어 영역을 두고 학계에서 문제 오류 주장이 나오는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포항공대(포스텍) 인문사회학부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이충형 교수는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견해를 다룬 17번 문항에 정답이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수능 언어(현 국어) 베스트셀러 수험서인 '언어(국어)의 기술'을 집필한 스타 강사 이해황씨 역시 같은 주장을 담은 동영상을 유튜브에 게재했다.
이 교수는 해당 지문 자체가 "고등학교 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며 난이도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지난 17일까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수능 문항 이의 제기를 받은 평가원은 심사를 거쳐 오는 25일 최종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
평가원이 논란이 된 문제의 정답을 정정할 경우, 수험생의 등급과 표준점수 역시 기존과는 달라진다. 특히 올해 국어는 '불(火) 국어'였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체감 난도가 높아서, 정답 확정에 관심이 쏠린다.
다만 그동안 평가원이 정답 정정에 매우 보수적이었던 만큼 복수 정답이나 전원 정답 처리할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보인다.(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