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가 미국에 2천억달러(약 291조원)를 투자하고 미국은 스위스에 대한 상호관세를 현재 39%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스위스 정부는 14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미국과 이 같은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나라 합의에 따라 스위스 기업들은 미국에 직업교육과 훈련을 포함해 2028년까지 2천억달러 규모의 직접 투자를 하기로 했다.
스위스는 모든 공산품과 수산·해산물, 민감하지 않은 품목의 농산물 시장을 개방한다. 육류의 경우 소고기 500t, 들소고기 1천t, 가금류 1천500t의 무관세 쿼터(할당량)가 적용된다.
기 파르믈랭 경제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의약품과 금, 화학제품은 앞으로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며 "몇 달 안에 양해각서 내용을 법제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홈페이지에 '미·스위스·리히텐슈타인 무역합의 타결' 팩트시트를 올렸다.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은 신선·건조 견과류, 생선 및 해산물, 일부 과일, 화학제품, 위스·럼 등 다양한 품목의 관세를 철폐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은 밝혔다.
백악관은 이번 합의에 대해 "미국 수출업자들에게 스위스 및 리히텐슈타인 시장에 대한 전례 없는 접근을 제공하고 미국 내 수십억 달러 규모 투자를 촉진해 미 전역에서 수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2024년 기준 미국의 대(對) 스위스·리히텐슈타인 무역 적자는 385억 달러였으며, 이번 합의로 2028년까지 적자를 해소할 길이 열렸다"고 밝혔다.
스위스 정부는 엑스(X·옛 트위터)에 "건설적인 협력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감사드린다"고 적었다. 파르믈랭 장관은 취재진이 트럼프에게 감사하는 이유를 묻자 "현실 정치를 해야 하며 지금 해결책을 찾은 게 중요하다"고 답했다.
헬레네 부들리거 아르티에가 경제사무국장은 국내에 투자하는 게 더 낫지 않느냐는 질문에 "2천억달러로 스위스 어디에 공장을 세우겠느냐"며 "스위스는 역사적으로 항상 해외 투자자였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월말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과 통화한 직후 스위스산 수입품에 39%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통보했다. 이는 올해 4월 이후 적용된 관세율 31%보다 오히려 높고 유럽연합(EU)이 비슷한 시기 미국과 합의한 관세율 15%의 배를 넘는다.
스위스는 당초 관세율 10%를 기대하고 미국 정부 실무진과 무역합의문 초안까지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켈러주터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서 무역흑자 원인을 '가르치듯' 해명하다가 화를 부른 것으로 보도됐다. 관세율 39%는 작년 스위스의 대미 무역흑자가 385억달러(약 56조원)여서 10억달러에 1%씩 매겼다는 설이 유력하다.
스위스의 대미 수출 가운데 약 60%가 의약품이고 시계, 정밀기계, 초콜릿, 커피 캡슐, 치즈도 많이 수출한다. 스위스 양대 제약업체 로슈와 노바티스는 이미 미국 수요의 100%를 현지에서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미국과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은 내년 초까지 무역 협정을 최종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백악관은 밝혔다.(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