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흘 앞으로 다가온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수학에선 미적분을, 국어에서는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수험생이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올해 치러진 교육청 모의고사 4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 모의고사 2회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26학년도 수능에서 미적분과 언어와 매체의 표준점수가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9일 밝혔다.
올해 총 6회 모의고사의 표준점수를 살펴보면 수학 미적분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확률과 통계 만점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하 또한 확률과 통계보다 표준점수가 높았다.
예컨대 지난 3월 교육청 모의고사 확률과 통계에서 원점수 100점을 받은 수험생의 표준점수는 149점이었으나, 미적분 100점 자의 표준점수는 157점이었다.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점수로, 일반적으로 평균 점수가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상승하고 평균 점수가 높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다. 시험을 잘 본 사람이 많을수록 표준점수는 낮아진다는 의미다.
미적분은 2022학년도 통합 수능이 도입된 이래 한 차례도 제외하지 않고 확률과 통계보다 표준점수가 3점∼11점 높았다. 통상 확률과 통계는 인문계 수험생이, 미적분과 기하는 자연계 수험생이 선택하는 과목이다.
국어에서는 통합 수능 이후 교육청 모의고사(20회), 평가원 모의고사(10회), 수능(4회) 등 모든 시험에서 언어와 매체의 표준점수가 화법과 작문보다 1∼7점 높았다.
올해 시행된 모의고사 6차례 모두에서도 언어와 매체가 화법과 작문과 비교해 표준점수가 2∼7점 앞섰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미적분과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상위권 학생들은 자연계 학생이라 하더라도 정시에서 자연계뿐만 아니라 인문계 학과에 교차지원하거나 문·이과 구분 없이 선발하는 무전공 선발 전형에서도 매우 유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임 대표는 다만 "올해 미적분 응시 지원자가 작년보다 15.0%, 언어와 매체 지원자는 7.4% 줄어 두 과목의 상위권 학생 수는 지난해보다 감소할 수 있다"면서 "교차 지원이나 무전공 전형에서의 실질 영향력은 지난해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