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보생명은 지난달 출시한 '평생안심신탁'이 100호 계약을 돌파했다고 2일 전했다.
평생안심신탁은 치매나 중증질환으로 인지 능력이 저하된 65세 이상 고령자의 금융계좌가 동결돼 자금을 활용할 수 없는 이른바 '치매머니'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출시된 상품이다.
국내 치매머니 규모는 약 172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치매머니는 병원비∙간병비 등 예기치 못한 지출이 급증하는 노후 시기에 자금이 묶여 가족이 활용할 수 없고, 결국 상속세 부담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보다 20년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현재 치매머니 규모가 240조엔(한화 약 2300조원)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교보생명 평생안심신탁 가입자는 여성이 76%이며, 남성보다 월등히 높다.
연령대로는 70대가 5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60대(23%), 80대(18%), 50대(8%) 순이다.
계약 금액은 1억원 이하가 79%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1억~5억원 미만 17%, 5억~10억원 미만 3%, 10억 원 이상 1%로 뒤를 이었다.
교보생명 평생안심신탁은 가입자가 평상시에는 일반 금융계좌처럼 자유롭게 이용하다가 중증치매나 중증질환으로 스스로 일상생활이 어렵다는 의료적 진단을 받으면, 사전에 지정된 후견인이 대신 신탁 계좌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김계완 교보생명 종합자산관리팀장은 “지난해부터 초고령사회가 이미 시작된 만큼 금융회사도 서둘러 다양한 서비스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며 “앞으로도 맞춤형 종합재산신탁 상품을 제공, 고령층이 직면한 재산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7월 종합재산신탁 사업에 본격 진출한 이후 보험금청구권신탁∙유언대용신탁 등 맞춤형 신탁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