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100만명시대…'어리석다' 뜻 담긴 용어 개정 논의 힘받을까

21일 '치매 극복의 날'…신경인지장애, 인지저하증 등 대안 거론
"운동·독서·절주·금연·소통, 치매 예방에 도움"

 

올해 치매 환자가 100만명에 육박하는 가운데 21일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어리석다'는 뜻이 담긴 치매란 용어를 바꾸자는 논의에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22대 국회에는 법률상 치매란 용어를 인지저하증이나 뇌 인지저하증, 인지증, 신경인지장애 등으로 바꾸자는 내용의 치매관리법 개정안 4건이 발의돼 있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의 뇌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기능이 저하돼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한자로 '어리석을 치(癡)'와 '어리석을 매(呆)' 자를 쓴다.

 

이런 부정적인 단어가 환자와 가족에게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조기 발견과 적기 치료에도 방해가 되는 만큼 보다 가치 중립적인 단어로 명칭을 바꾸자는 게 법안들의 취지다.

 

법률상 용어가 바뀌면 치매안심센터 등의 기관명과 각종 정부 사업의 명칭도 바뀌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치매란 용어는 부정적 인식과 사회적 편견을 유발하므로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복지부는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 2023년 전문가와 환자 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치매용어 개정협의체'를 운영하기도 했으나 실제 개정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당시 협의체는 대체용어 후보군으로 인지저하증과 인지병을 꼽았는데 인지저하증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국민들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용어란 평가를, 인지병은 용어가 간결해 사용하기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대한치매협회는 인지저하증이란 단어에도 '저하'라는 부정적 의미가 담기는 만큼 치매 명칭을 바꾸는 취지가 퇴색할 우려가 있다는 입장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취지는 일부 공감하지만, 의료 용어와의 혼선 등을 고려할 때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부정적 인식을 줄이기 위해 치매 용어를 바꾼 사례는 해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일본, 대만, 중국·홍콩은 치매란 용어를 각각 뇌인지저하증, 실지증, 뇌퇴화증으로 바꿨다. 미국은 정신질환 분류기준에서 '치매(Dementia·정신 이상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를 '주요 신경인지장애'로 바꿨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심사 연도 기준 지난해 치매 진료 환자는 70만9천620명에 달했다. 2020년(56만7천433명)보다 25.1% 늘었다.

 

복지부의 2023년 치매역학조사에 따르면 올해 기준 치매 환자수는 97만명, 내년에는 1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됐다.

 

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가 지난해 발간한 '치매 가이드북'에 따르면 일주일에 3번 이상의 운동, 균형 잡힌 식사, 독서, 절주, 금연, 뇌 손상 예방, 정기적인 건강검진, 가족·친구와의 소통, 치매 조기 검진 등이 치매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연합뉴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