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생산적 금융 위해 부동산 쏠림 유발 제도 전부 바꿀 것”

신임 금융위원장, 15일 정부서울청사서 취임식
“생산적·소비자 중심·신뢰 금융” 금융 대전환 선언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생산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신뢰 금융’을 3대 핵심 방향으로 하는 금융 대전환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우리 경제가 완전히 새로운 국면에 진입한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금융의 과감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 위원장은 “현재 우리 금융은 담보대출 위주의 손쉬운 방식에 치중해 부동산 쏠림과 가계부채 누적 문제를 야기하고 실물경제와 괴리되고 있다”라며, “적극적으로 위험을 감내하면서 미래를 견인할 생산적 금융으로 자금 중개 방식을 바꿔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이에 첨단산업, 벤처기업 등 혁신 분야에 집중하는 150조 원 규모 국민성장펀드 조성 계획을 공개하며, 건전성 규제와 감독 제도도 과도한 안정 지향과 부동산 쏠림을 유발하지 않도록 개선할 뜻을 나타냈다.

 

소비자 중심 금융 실현도 중요 과제로 제시하며, “서민금융안정기금 신설을 통해 서민과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에 다양한 자금이 공급되고 금융 부담이 완화되도록 할 것이다. 연체자에 대해서는 과감하고 신속한 채무조정을 지원하고, 연체 관리 및 추심 과정의 불합리한 관행을 세심하게 점검하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금융사고 예방과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사전적·사후적 제도 개선도 약속했다.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는 가계부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취약한 주력산업 사업 재편 등 금융시장 내 중요한 위험요인을 면밀히 살피고, 필요시 선제적이고 과감한 시장 안정 조치를 실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시장 질서를 저해하는 불법·불공정 행위에는 ‘원스트라이크 아웃’ 원칙을 엄격히 적용해 금융 질서를 확립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 취임사에서 금융위 조직개편 문제에 대해선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조직개편은 금융정책 기능 분리와 금융감독위원회(금감위)로의 재편을 골자로 하며 내부 반발과 혼란이 심화된 상태다. 이 위원장은 인사청문회에서 조직개편 관련 질의에 “언급하는 게 적절하지 않다. 필요할 때 이야기하겠다”라고 답했다.

 

하지만 취임사 말미에 “시장과 국민의 기대가 여전히 높다”라며 ‘대관소찰(크게 보고 세밀히 살피는 자세)’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이위원장은 196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주리대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35회 출신인 그는 기획재정부, 대통령실, 금융연구원 등에서 30년 넘게 경제·금융 정책과 위기 대응을 담당해왔다. 코로나19 위기 대응 당시 기재부 1차관을 역임하는 등 풍부한 거시경제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