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이 치매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금융권이 시니어 고객을 위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 가운데 치매 전담 특화 조직을 구성한 것은 하나은행이 처음이다. 하나은행은 '치매안심 금융센터'를 신설하고 치매 환자 본인과 가족 모두 안심할 수 있는 전문적인 컨설팅을 제공한다고 29일 전했다. 하나은행은 치매안심 금융센터에 전문 컨설턴트를 배치, ▲치매 전 치매안심신탁 설계 및 임의후견제도 활용 ▲치매 후 성년후견제도의 실행지원 ▲돌봄, 요양, 간병 등 가족을 위한 생활지원까지 치매 단계별 전 과정에 대한 치매안심솔루션을 제시한다. 특히 한국후견협회, 사단법인 온율 등 외부 전문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신뢰성과 전문성을 강화했다. 한국후견협회는 공공후견인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온율은 치매환자, 미성년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공후견지원에 특화된 사단법인이다. 또 하나은행의 모든 PB(Private Banker)들은 중앙치매센터의 치매 파트너 교육을 이수, 손님과 그 가족이 치매 관련 고민을 안심하고 상담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치매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전체의 삶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
현대엘리베이터가 현대위아와 함께 로봇 주차 솔루션을 개발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 28일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로봇 오토발렛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전했다. 양사 그간 기계식 주차시스템에 머물던 시장을 로봇과 결합한 미래형 로봇 오토 발렛 솔류션을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각사가 보유한 기술은 접목하기 위한 것이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신개념 자동주차 솔루션인 ‘HIP(Hyundai Integrated Parking system)’를 상용화한 상태다. 협소한 도심 주차공간 문제를 해소하는 한편 기존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문제와 차량 입출고시 긴 대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 스마트 주차시스템이다. 현대위아 역시 차량을 들어 이동, 빈 곳을 찾아 주차해 주는 주차로봇을 운용 중이다. 현대엘리베이터는 ‘HIP’를 활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을 공급한다. 또 주차장 레이아웃 구성과 주차로봇과의 연동을 위한 설비와 인프라 기획 등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위아는 주차 봇과 운용을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공 등 관련 인프라 디자인 등의 역할을 맡는다. 양사는 이와 함께 ‘로봇 오토발렛 솔루션’의 안정적 운용을
지난해 접수된 아동·장애인·치매환자 실종 신고가 5만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21명은 아직 찾지 못한 상태다.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이런 내용이 담긴 '2024년 실종아동 등 연차보고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1월 개정된 실종아동법에 따르면 복지부와 경찰청은 실종아동 등을 위한 정책 추진 현황과 평가 결과에 대한 연차 보고서를 작성해 매년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이번이 정부가 법에 따라 발간한 첫 보고서다. '실종아동 등'에는 실종 당시 18세 미만인 아동, 전 연령의 지적·자폐성·정신 장애인, 전 연령의 치매환자가 포함된다. 지난해 접수된 관련 아동 등 실종신고는 총 4만9천624건이었는데, 이 가운데 4만8천872건이 작년에 발생한 실종에 대한 신고였다. 작년 발생분을 구체적으로 보면 아동 2만5천171명(51.5%), 장애인 8천315명(17.0%), 치매환자 1만5천836명(31.5%) 등이었다. 아직 실종신고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는 총 121건(0.25%)이었는데 아동(64명·0.25%), 장애인(41명·0.49%), 치매환자(16명·0.10%) 순이었다. 발견된 경우를 놓고 보면 '2일 이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소액 소포 면세'(de minimis exemption) 제도의 폐지가 영구적이며 어느 국가에도 예외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당국자는 28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대통령이 향후 이 정책을 바꿀 수도 있냐는 질문에 "이건 영구적인 변화다. 소액 면세 제도는 이 나라가 한 가장 어리석은 짓 중 하나다"라고 답했다. 그간 미국에서는 개인이 1일 수입하는 제품의 가치가 800달러를 넘지 않는 경우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제도를 운용해왔다. 그러나 이 제도를 중국 등의 나라들이 미국의 관세를 우회하거나 마약 등 금지된 품목을 몰래 들여오는 수단으로 남용한다는 문제의식이 커지면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전부터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서 발송된 소액 소포의 면세를 중단했으며, 이 조치가 오는 29일 0시1분부터는 모든 국가에 적용된다. 고위당국자는 특정 국가에 대해 예외적으로 소액 소포 면세를 허용할 수 있냐는 질문에 "세계 어느 국가도 어떤 예외도 받지 못할 것"이라며 "한 나라에 예외를 허용하면 그것의 유일한 효과는 그 나라를 소액 소포의 주요 환적지로 만드는 것"이라고 답했다.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28일(현지시간) 자사의 최신 인공지능(AI) 칩 블랙웰을 중국에 판매하는 것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CEO는 이날 미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트럼프 대통령과의 논의에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판매 허가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없다고 덧붙였다. 엔비디아는 중국용으로 블랙웰 칩의 저사양 버전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이 칩의 성능을 일반 칩보다 30∼50%까지 낮춘다면 중국 수출을 허용할 수도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황 CEO는 "논의에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가 미국 기술 스택(특정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등 기술 요소의 집합을 일컫는 말)을 기반으로 AI를 개발하는 것이 AI 경쟁에서 승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미 달러가 세계 표준인 것처럼 미국 기술이 전 세계에 퍼지길 원하고 전 세계가 미국 기준 위에서 구축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황 CEO는 엔비디아 2분기 실적에서 중국에 H20 칩 판매가 전혀 없었던 점에 대해서도
미국 배우 겸 가수 윌 스미스가 자신의 유튜브에 올린 한 공연 영상이 인공지능(AI) 기술로 조작됐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더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스미스는 최근 영국 투어 공연의 모습을 담은 쇼츠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게재했다. '내가 투어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여러분을 가까이에서 보는 것입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은 열창하는 스미스를 애정 어린 눈으로 바라보며 환호하는 관객의 모습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댓글을 통해 이 영상이 AI로 보정된 것 같다는 지적을 제기했다. 관객의 얼굴이 일부 왜곡됐고 손 모습 등이 어색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한 주장이었다. 딥페이크 식별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인 '겟리얼 랩스'의 최고 조사책임자인 에마뉘엘 살리바도 이 같은 의혹에 힘을 실었다. 그는 더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일부 장면은 실제 스미스의 콘서트 영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영상에 어떤 조치가 가해진 듯했고 화면이 왜곡돼 보였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얼굴이 거의 녹아내린 듯한 왜곡 현상은 생성형 AI 영상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더타임스는 스미스가 AI 영상의 발전 과정에서 일종의 상징적
가수 유승준(48·미국 이름 스티븐 승준 유)씨의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5부(이정원 부장판사)는 유씨가 주 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를 상대로 낸 사증(비자) 발급 거부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유 씨가 비자 발급을 거부당하자 주 LA 총영사를 상대로 낸 세 번째 소송이다. LA 총영사관은 유씨의 비자 발급을 거부하며 "유씨의 행위 등이 대한민국의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 외교관계 등 대한민국의 이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밝혔는데, 재판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여기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다고 보기 어려워 처분 사유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비자 발급 거부 처분으로 얻게 되는 공익에 비해 그로 인해 침해되는 원고의 불이익이 지나치게 커 비례의 원칙을 위반한 재량권 일탈·남용의 위법이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재판부는 "법리적으로 거부 처분을 취소할 수밖에 없지만, 이런 결론이 원고의 과거 행위가 적절했다고 판단하는 건 아니다"고 강조했다. 또 "입국이 허가돼 원고가 국내에서 체류하게 되더라도 격동의 역사를 통해 충분히 성숙해진 우리 국민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8일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2.50%로 동결했다. 소비 회복과 반도체 수출 증가로 성장세가 다소 개선되고 물가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대외 불확실성과 금융 불균형 위험 요인을 감안해 기준금리를 유지한 것이다. 다만 금통위는 경기 하방 압력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향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며 완화적 기조를 지속하기로 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라며 “낮은 성장률이 이어지는 상황을 전제로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은은 올해 경제 성장률을 0.9%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5월 전망치(0.8%)보다 소폭 상향한 것이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6%로 기존 전망과 동일하다. 이 총재는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전제한 것”이라면서도 “11월 경제전망 수정에서 성장률 수치가 달라지면 통화정책 기조도 그에 따라 변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1%로 다소 낮아졌고,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0%를 유지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 근원물가는 1.9%로 전망된다. 내년에는 두 지표 모
최근 1년간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중앙디성센터)를 통해 딥페이크 성범죄 관련 지원을 받은 인원이 전년보다 12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는 10대였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작년 8월 26일부터 이달 25일까지 1년간 중앙디성센터를 통해 딥페이크 성범죄 피해자 1천807명을 지원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딥페이크 성범죄 전담팀 설치 이전 1년간(2023년 8월∼2024년 7월) 지원한 793명 대비 약 128% 증가한 수치다. 여성인권진흥원은 작년 8월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성범죄 피해가 급속히 확산함에 따라 중앙디성센터 내에 딥페이크 성범죄 전담팀을 구성해 대응해 왔다. 상담·연계·삭제 등 지원 서비스 제공 건수는 총 1만8천52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1배 늘었다. 전체 피해자 중 여성이 97.1%(1천754명), 남성이 2.9%(53명)를 각각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는 10대 이하가 46.4%(839명)로 가장 많았고, 20대가 45.9%(829명)로 뒤를 이었다. 중·고등학교와 대학가에서 딥페이크 성범죄가 기승을 부린 영향으로 보인다고 여성인권진흥원은 설명했다. 여성인권진흥원은 경찰청, 교육부, 국방부 등 관계
유치원과 초·중·고교생 수가 1년 사이 10만명 넘게 줄면서 올해 550만명대까지 내려앉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20만명을 돌파했다. 외국인 유학생도 25만명을 넘겨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유·초등 학생 수 감소 뚜렷…100명 중 4명은 다문화 학생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와 고등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4월 1일 기준 유·초·중·고교 학생 수는 555만1천250명으로 전년(568만4천745명) 대비 13만3천495명(2.3%) 감소했다. 1986년 1천31만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학생 수는 이후 줄곧 줄다가 2005년 소폭 증가한 뒤 2006년부터 20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학급별로 보면 초등학생이 234만5천488명으로 전년보다 14만9천517명(6.0%)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유치원생은 1만7천79명(3.4%) 감소한 48만1천525명, 고등학생은 4천859명(0.4%) 준 129만9천466명이었다. 반면 중학생은 137만356명으로 3만7천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