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크록은 영국과 미국에서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유행하면서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동시기 국내에서는 1975년 ‘유신체제’가 들어서면서 정부의 심의 강화로 전체적인 공연예술계가 침체됐다. ‘가요정화운동’이라는 엄격한 검열제도하에 음악 활동은 물론이고 수입되는 해외 음악 또한 철저하게 검수됐다. 이후 1980년대 중후반에는 금지됐던 영미의 다양한 음악이 CD 형태로 반입됐다. 국내 대중음악가들은 펑크록 뮤지션의 음악을 자신들의 모티브로 삼아 곡을 카피하거나 다른 스타일 음악을 접목해 연주를 하는 등 밴드 구성의 음악 흐름을 형성했다. ▉ 1970년대 : 인디의 서광, 언더그라운드 이 시기 밴드 뮤지션 혹은 1인 뮤지션들은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이라 불린다. 따라서 이 시기를 ‘언더그라운드의 시대’라고도 부른다. 언더그라운드는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지하(地下)라는 뜻이 된다. 이는 지상(地上)으로 비유되는 상업적 대중음악 세계, 즉 주류에 반하는 비주류를 뜻한다. 지상으로 올라가지 못하거나 오르기를 원치 않는 비주류, 마이너(minor), 대안(alternative), 인디(indie)로 이름은 다르지만 같은 의미가 있다. 이 시기 음악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여성의 경우 직업 앞에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젠더의식의 부재는 여전히 만연하다. 인디신에서도 유독 여성 인디 뮤지션에게는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왔다. 남성 뮤지션은 ‘남성 뮤지션’이라 부르지 않는데 왜 여성 뮤지션만 ‘여성 뮤지션’, ‘여성 싱어송라이터’라는 사실을 강조하는지 의구심을 품어봤다면 독립 음악 산업 구조 속 소비되는 여성의 이미지를 유추해볼 수 있다. 특히 10여 년간 사용돼 온 ‘홍대 여신’은 인디신 내 여성의 입지를 여실히 드러내는 수식어다. 이는 뮤지션의 다양한 모습과 전문적인 음악성을 ‘여신’이라는 외적 평가요소로 압축한 전형적인 대상화다. 이런 입지를 타개하기 위해 뮤지션과 그 음악 자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라온미디어는 인디 뮤지션 중에서도 여성을, 그중에서도 음악성을 조명하는 별도 섹션을 마련하고 실력파 뮤지션을 발굴한다. [편집자주] 일반적으로 인디음악이라 하면 기타를 메고 어쿠스틱 분위기의 노래를 부르는 걸 떠올린다. 하지만 잔잔한 분위기라고 해서 다 같을 순 없다. 같은 가사라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천지 차이다. 저마다 특색을 살려 감성적인 목소리로 위로를 건네는 뮤지션들을 소개한다. 안녕하신가영 (사
서유주 기자 뮤지션들 사이에서 인정받는 아티스트 서사무엘의 정규 앨범 3집 <The Misfit> 총 15곡 CD수록곡과 18곡 LP로 동시 발매됐다. 앨범 제목 <The Misfit>의 뜻은 부적응자다. 가사의 면면에서 사회에 대한 신랄하면서도 예리한 비판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채 숨어 있다. 어떻게 보면 비틀어져 있고, 또 어떻게 느끼면 그게 올바른거 같고, 혼란스러워 보이지만 분명한 목소리를 내는 서사무엘의 멋스러운 아이덴티티가 명확하게 느껴지는 곡이다. 앨범은 지난 앨범에 비해 확실히 다듬어진 느낌이다. 강하게 ‘나 여깄어, 나는 이렇게 생각해!‘하고 주장하던 모습이 아닌 독자적인 행보의 맥을 이으면서도 전체적인 표형방식과 서사무엘의 어법이 훌륭하게 조화를 이룬 마스터링된 작품 같다. 지금까지 충분히 인정받고 독보적인 대체 불가 아티스트였지만, 이번에는 자신을 좀 더 부드럽고 매끄러운 정제된 선으로 드러내며 아티스트로 견고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디안젤로의 숨결이 느껴지는 편곡 방향과 함께 트랙 후반부로 갈수록 서사무엘만의 매력적이고 독특한 색깔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서사무엘 3집앨범 'The Misfit' 좋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