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부터 동네 의원·약국에서도 실손보험금 ‘간편 전산청구’ 가능

실손보험 보유자 '실손24' 앱·홈페이지 통해 청구전산화 이용 가능
네이버·토스에서도 실손보험 청구 가능…플랫폼 연계 본격화

 

오는 25일부터 의원과 약국에서도 실손의료보험 보험금 청구가 전산으로 가능해진다.

 

금융위원회는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확대 시행을 앞두고 유관기관과 점검회의를 열고 요양기관의 시스템 연계 현황과 참여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23일 밝혔다.

 

2단계가 시행되면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에 한정돼 있던 전산 청구가 의원과 약국으로 확대된다. 전체 10만 4541개 요양기관 중 현재 1만 920곳(10.4%)이 청구전산화 시스템 ‘실손24’에 연계됐다. 단계별 연계율은 1단계(병원급·보건소)가 54.8%, 2단계(의원·약국)가 6.9% 수준이다. 금융위는 EMR(전자의무기록처리) 업체들의 참여가 늘면서 연계율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실손24는 실손보험 보유자가 병원 창구 방문이나 서류 제출 없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청구자는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진료내역 및 처방전을 전자 전송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정부는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제3자 청구’와 ‘나의 자녀청구’ 기능을 도입해 가족이나 대리인이 대신 청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요양기관의 참여 의무도 명확해진다. 환자가 전산 청구를 요청하면 해당 기관은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서류를 전자 형태로 보험사에 전송해야 한다. 금융위는 실손24에 참여하는 요양기관에 대해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감면(5년간 0.2%포인트), 일반보험 보험료 할인(3~5%)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향후 보건복지부의 의료질평가 지표에 연계 여부를 반영하고 응급의료포털(E-gen)에 연계 정보를 표기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용자는 네이버지도·카카오맵 또는 실손24 앱에서 연계된 요양기관을 확인하고, 연계되지 않은 병원은 ‘참여 요청하기’ 기능을 통해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올해 11월부터는 네이버, 토스 등 주요 플랫폼 앱에서도 실손24 서비스를 설치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플랫폼을 통해 보험금을 청구하면 포인트 캐시백이 제공되며, 보험개발원은 현재 네이버페이 3천원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청구 전산화 2단계 시행으로 실손보험 청구가 한층 편리해지고 국민 불편이 크게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미참여 요양기관과 EMR 업체의 참여 확대를 지속 유도하고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