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행정시스템 복구율 52.6%…내일부터 온라인화장장 예약"

복구상황 점진적 회복 단계…내일부터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복구
7전산실 4개 스토리지 복구 완료…시스템 복구 큰 탄력 예상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전체 정부 행정 정보 시스템 복구율이 50%를 넘어서면서 복구 상황이 점진적 회복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행정 정보 시스템 총 709개 시스템 중 373개가 복구돼 전체 시스템의 52.6%가 정상화됐다.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1·2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은 각각 77.5%, 64.7%다.

 

윤 본부장은 "보건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종합관리시스템' 복구로 장기 이식 환자의 수술 일정과 혈액 공급 관리가 정상화됐고, 내일부터는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이 복구돼 온라인 화장장 예약 신청도 정상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긴급 구조와 재난 현장 대응에 이용하는 소방청의 '구조·생활 안전활동정보시스템도 복구됐다.

 

윤 본부장은 아울러 "7전산실의 스토리지(데이터 저장장치) (4개의) 복구가 완료됐다"며 "데이터 복원 기반이 확보된 만큼 시스템 복구가 큰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대전 본원은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으며, 이 중 5층에는 7·7-1·8 전산실이 있다.

 

실제 화재는 7-1전산실에서 발생했지만, 인접한 7·8 전산실도 분진과 연기 피해 등을 봤다. 8전산실은 분진제거와 전원공사 작업이 지난 11일에 완료돼 전기 공급이 재개된 상태다.

 

공주센터 등에 있는 백업데이터 복구도 병행 중이다. 정부는 현재 미복구 시스템으로 인한 행정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야별로 대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특히 복구되지 않은 1·2등급 시스템 33개는 모든 시스템이 서비스 대체 수단을 확보해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예를 들어 국민신문고 관련 서비스는 시군구의 새올 상담 민원 창구를 통해 접수가 가능하다. 각 기관의 우편 팩스 방문 창구도 함께 운영되고 있다.

 

노동 분야 민원을 담당하는 노사누리는 고용노동 임시 홈페이지를 통해 민원 서식 안내와 접수를 지원하고 있고, 지방 고용노동관서를 통한 방문 접수도 병행하고 있다.

 

정부는 시스템별 복구 상황에 맞춰 전산장비를 도입 중이다. 현재 서버 159식, 네트워크 90식을 포함한 총 319식의 장비를 도입했다.

 

윤 본부장은 "남은 복구 과정에서도 서비스의 안전성과 데이터 보존을 최우선으로 해서 복구를 진행해 나가겠다"며 "복구가 장기화하고 있는 만큼 작업 여건을 세심히 관리하고 무리한 일정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연합뉴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