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국내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 강화와 생태계 확장을 위해 20여개 기업과 힘을 모은다.
현대모비스는 29일 경기도 성남소재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호텔에서 국내 완성차와 팹리스,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패키징, 설계 툴(Tool) 전문사 등 23개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제1회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포럼, ‘Auto Semicon Korea’(이하 ASK)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는 유럽과 북미 등 해외 제품 의존도가 높은 분야다. 국내 기업들이 자생적으로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하는 데 뜻을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현대모비스 측은 전했다. 이른바 민간형 ‘K-車반도체’ 협력의 첫 사례로 꼽을 수 있다는 게 현대모비스 측의 설명이다.
현대모비스는 삼성전자와 DB하이텍, 글로벌테크놀로지, 동운아나텍, 한국전기연구원 등 포럼한 참석한 국내 주요 기업 및 연구기관과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또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이자, 공급망 관리자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계획이다.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은 “독자적인 반도체 설계 역량 확보와 함께 팹리스 및 디자인 하우스와 공동 개발을 추진하고, 주요 파운드리와도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IT나 모바일에 특화된 기업들의 신규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이를 통해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차량용 반도체는 설계부터 제조에 이르는 방대한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개발 과정이 길고, 품질인증 절차가 엄격해 신규 업체의 진입장벽이 높다.
이와 함께 컨슈머 반도체보다 혹독한 주행 환경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 해외 업체들의 영향력이 큰 분야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전원, 구동, 통신, 센서, 데이터 처리용 반도체 등 자체 개발한 총 16종의 반도체를 외부 파운드리를 통해 양산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생태계 구축에 참여하는 기업들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박철홍 현대모비스 반도체사업담당 전무는 “차량용 반도체는 제어기와의 상호 최적화가 가장 중요하다”며 “국내 기업들의 차별화된 경쟁력 향상을 위해 현대모비스는 제어기에 특화된 사양을 정의하고, 동시에 실차 기반 검증을 지원해 개발 속도를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주행거리를 좌우하는 전력반도체와 핵심부품을 통합 개발하면 이를 각각 개발할 때보다 최대 2년 가까이 연구개발 속도를 단축할 수 있다고 현대모비스 측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