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앞둔 영국이 2023년 찰스 3세 국왕의 대관식 이후 최대 규모의 경호 작전을 준비 중이라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4일(현지시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영국은 17∼19일 트럼프 대통령의 국빈 방문 기간 무인기(드론)와 저격수, 기마 경찰대, 수중 정찰팀 등을 동원한 경호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특히 찰스 3세 국왕과 카밀라 왕비가 트럼프 대통령을 맞이하는 윈저성과 수도 런던에는 무장 경찰이 파견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 기간, 윈저성 인근 상공을 비행 금지 구역으로 지정, 경찰이 드론과 헬기로 해당 공역을 감시·통제할 예정이다.
영국 당국자는 NYT에 "지상에는 제복을 입은 경찰관들이 배치되며 무장 경찰, 항공보안 요원들, 템스강을 담당하는 해상작전 부대도 투입될 예정"이라며 여러 층위로 보안 체계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영국이 이같이 삼엄한 경호를 준비하는 것은 최근 발생한 미국의 우익 정치활동가 찰리 커크의 암살 사건 등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견인한 '청년 보수 리더'로, 지난 10일 미국 유타주 유타밸리대 강연 도중 피격 사망했다.
이 사건은 지난해 대선 캠페인 기간 트럼프 대통령이 겪은 두 차례 암살 위기 사건을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NYT는 외국 국가원수의 방문에는 상당한 치안 대비가 필요하지만, 커크의 사망과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암살 시도 사건은 '잠재적 위협'에 대한 고려를 더 강화했다고 짚었다.
런던 경찰청의 왕실 경호관을 지낸 사이먼 모건은 당국자들이 지상·공중을 모두 통제하며 사격이 가능한 위치를 남기지 않으려고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영국과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양국의 원자력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협정을 체결한다고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첨단 원자력 에너지를 위한 대서양 파트너십'으로 명명된 이 협정에는 2028년 가동 종료 예정인 영국 하틀풀 원전을 대체할 신규 발전소 건설 계획이 포함됐다. 신규 발전소에는 첨단 모듈형 원자로 기술이 적용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첨단 모듈형 원자로 설계사인 미국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와 영국 가스 공급업체 센트리카는 이 사업과 관련한 공동 개발 협약을 맺었다.
아울러 이번 협정의 일환으로 영국 부동산 투자 기업 트라이택스와 프랑스 국영전력(EDF),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업체 홀텍은 잉글랜드 중부의 옛 석탄화력발전소 부지에 SMR로 가동되는 데이터 센터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미국과 함께 우리가 원자력의 황금시대를 만들고 있다"면서 이번 협정에 의미를 부여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