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연일 고공행진에 금·은 투자상품에 자금 대거 유입

은행권 골드뱅킹 잔액 1조2천억원 돌파...골드바 판매도 급증
실버바 판매액 작년의 6배 이상…실버뱅킹 잔액 첫 800억원 대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은행권 금 투자 상품에 대규모 자금이 몰리고 있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 11일 기준 1조 2367억원으로, 사상 처음 1조 2000억원을 돌파했다. 8월 말(1조 1393억원)과 비교하면 불과 열흘 만에 974억원 증가했으며, 올해 들어서는 4545억원 늘어나는 등 급증세가 뚜렷하다.

 

골드뱅킹은 은행 계좌를 통해 금을 0.01g 단위로 사고팔 수 있는 금융상품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투자 열기가 본격적으로 확대됐다.

 

국제 금 가격은 지난주 현물 기준 온스당 36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 금값 역시 상승세를 이어간다.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지난 12일 1㎏짜리 금 현물은 1g당 16만 5100원에 거래돼 작년 말 대비 29% 상승했다. 지난 9일에는 16만 7740원까지 올라 2월 고점인 16만 8500원에 근접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값 랠리가 지속되면서 고객들의 금 관련 상품 가입이 급증하고 있다”라며 “거래량 자체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라고 말했다.

 

골드뱅킹 계좌 수도 지난 8일 기준 30만 1403좌로 집계돼 투자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0.01g 단위 소액 투자 가능성이 젊은 층의 금 투자 열풍을 견인하고 있다.

 

실물 금 투자도 활기를 띠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이달 1~11일 골드바 판매액은 373억원으로, 8월 전체 판매액과 비슷한 규모를 불과 열흘 만에 기록했다.

 

올해 누적 골드바 판매액은 3628억원으로, 지난해 연간(1654억원)의 2.2배에 이른다. 2월에는 품귀 현상으로 일부 은행이 골드바 판매를 잠시 중단하는 사태도 있었지만 수요가 줄지 않고 있다.

 

한편 골드뱅킹 시장은 신한은행이 약 70%의 점유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신한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골드뱅킹 상품을 출시한 이후 다양한 부가서비스와 소액 투자(0.01g 단위) 기능을 제공하며 젊은 층까지 투자 저변을 넓혀왔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뒤를 잇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하나은행이 국내 금융권 최초로 금 실물을 기반으로 한 ‘금 신탁’ 상품을 선보이며 골드뱅킹 2위 자리를 놓고 3파전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은 투자 시장도 뜨겁다. KB국민·신한·우리·NH농협은행의 8월 실버바 판매액은 처음으로 월 10억원을 넘었고, 이달 11일간 7억 5100만원이 판매되면서 기록 경신이 기대된다. 누적 판매액은 50억원에 육박해 지난해(8억원)의 6배 이상이다. 신한은행 실버뱅킹 상품 ‘실버리슈’ 잔액도 지난 11일 기준 810억원으로 처음 800억원선을 돌파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금값이 급등하면서 가격 조정 우려도 있지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완화되지 않는 한 금 투자 열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골드뱅킹은 소액 분산 투자와 실물 보관 부담 해소에 유리하지만, 단기 시세 차익보다는 장기적인 자산 분산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조언했다.

 

이처럼 금 투자 상품에 돈이 몰리는 것은 국제 금값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금 현물 가격은 올해 들어서만 온스당 976달러(37%) 올랐다. 온스당 3300 달러 선에서 4개월여 횡보세를 보인 이후 이달 들어 온스당 3500달러를 돌파했고 지난 6일 온스당 3600달러를 기록,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