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악화와 은행권 대출 규제 여파로 신용카드 연체율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카드론(장기카드대출) 평균금리는 연 15%에 육박하며 서민 금융에 경고등이 켜졌다. 서민·취약계층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카드업계와 금융당국 모두 연체율 관리와 취약차주 보호에 비상이 걸렸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말 기준 주요 카드사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이 모두 상승했다.
하나카드는 2.15%로 2014년 12월 출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KB국민카드는 1.61%로 2014년 말(1.6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신한카드(1.61%), 우리카드(1.87%) 등도 각각 2015년, 2014년 이후 최고치다.
카드 연체율이 2%를 넘어서면 업계에서는 ‘경고등’이 켜진 것으로 본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연체율 2% 돌파는 자산건전성에 심각한 부담을 주는 수준”이라며 “특히 경기 침체와 고금리, 은행권 대출 문턱 상승으로 서민과 취약계층의 상환 부담이 더욱 커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카드론 평균금리는 3월 기준 연 14.83%로, 2022년 12월(14.84%)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9개 주요 카드사 모두 14~15%대 금리를 적용하고 있으며, 롯데카드(15.46%), NH농협카드(15.43%), 현대카드(15.29%), 신한카드(15.27%) 등 일부 카드는 15%를 넘겼다.
카드론 금리 상승의 배경에는 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 대출 수요 급증, 연체 위험 증가 등이 있다. 은행권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서민과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이 카드론과 보험계약대출 등 고금리 대출로 몰리고 있다. 실제 카드론 잔액은 2월 42조 9888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3월 말에도 42조 3720억원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조달금리(여전채 금리)는 하락했지만, 카드론 금리는 오히려 오르며 ‘이자 장사’ 논란도 커지고 있다.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와 연체 위험 확대, 저신용자 비중 증가로 인해 금리를 쉽게 내릴 수 없다”라고 설명한다. 저신용자(신용점수 700점 이하)의 카드론 평균금리는 17.66%로, 현대카드는 19.32%에 달해 법정 최고금리(20%)에 바짝 다가섰다.
전문가들은 “고금리·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 연체율과 이자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라며 “취약계층의 금융 리스크 관리와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라고 지적했다.
카드업계는 연체율과 대손충당금 증가로 자금조달 부담이 커지고 건전성 악화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고 토로한다. 실제로 카드사들은 연체율 상승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늘리고 있으며, 자금조달 비용이 높아지면 카드론 금리 인하 여력도 줄어드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
금융당국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카드사에 취약차주 지원과 연체채권 관리 강화,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주문하고 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취약계층의 연체율이 급격히 오르는 만큼, 카드업계와 함께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