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도 고삐, 보험사도 고삐…가계대출 받기 더 어려워졌다

하나은행, 다자녀 우대금리 절반 축소...SC제일은행, 다주택 주담대 막아
보험사들도 유주택자의 주택 구입 목적 주담대 제한

 

은행권과 보험사가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하며 대출 고삐를 더 죄고 있다. 다주택자와 유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 제한이 확대되고, 다자녀 가구에 대한 우대금리 혜택도 축소되면서 실수요자 중심의 대출 기조가 더욱 강화되는 모습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오는 10일부터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전세대출의 다자녀 가구 고객 우대금리를 축소한다. 기존에는 미성년 자녀가 2명인 경우 0.2%포인트(p), 3명 이상인 경우 0.4%p의 금리 감면 혜택을 제공했으나, 이를 각각 0.1%p와 0.2%p로 절반 줄이기로 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다자녀 가구 감면율을 확대했던 것을 다시 정상화한 것"이라며 "기존 다자녀 감면 제도는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SC제일은행은 이날부터 서울 지역에서 1주택자의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를 중단했다. 다만 무주택자는 대출이 가능하며, 유주택자의 경우 기존 주택을 처분 조건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 SC제일은행은 이미 지난달부터 2주택 이상 보유한 차주의 주담대를 전면 중단한 바 있다.

 

SC제일은행 관계자는 "서울 외 지역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2주택까지 구입 자금 대출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은행권의 이러한 조치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기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투기적 성격이 강한 다주택자 대상 대출을 제한하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대출을 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보험사들도 은행권 규제에 발맞춰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현대해상은 오는 7일부터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구 소재 주택 추가 구입을 위한 유주택자의 주담대를 제한하기로 했다. 삼성화재는 이달 초부터 서울 지역 유주택자의 주담대를 중단했으며, KB손해보험도 지난달 중순부터 동일한 조치를 취했다.

 

삼성생명과 교보생명 등 주요 생명보험사들도 이미 지난해부터 다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주담대를 제한해왔다. 이러한 보험사의 움직임은 은행권 규제로 인해 보험사로 대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를 차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권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보험사로 대출 수요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어 업계가 자율적으로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보험사의 주담대는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평가다.

 

은행과 보험사의 가계 대출 규제는 당국의 요구에 따라 실수요자를 보호하면서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고 주택시장의 가격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가 실수요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세심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금융당국은 앞으로도 은행과 보험사의 대출 건전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과도한 부채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