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이나 종전 논의 과정에 최대 변수로 부상한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광물협정이 오는 28일(현지기간) 양국 정상에 의해 공식 서명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금요일(28일) 미국에 온다고 들었다. 그가 오고 싶다면 나는 물론 괜찮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젤렌스키는 나와 함께 광물협정에 서명하고 싶어 한다. 나는 이것이 매우 큰 거래라는 걸 알고 있다"며 협상이 거의 마무리 단계라고 했다.
앞서 우크라이나 정부 관계자도 양국간 협상이 합의점에 도달했으며, 오는 28일 양측이 서명할 수 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광물협정의 조건에 양국이 합의한 뒤 양측 정부 인사들이 세부 사항을 놓고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재로선 금요일(28일)에 젤렌스키 대통령이 워싱턴을 방문해 협정에 서명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양국이 협상을 벌인 초안에 우크라이나 안보에 관해 언급돼 있지만 미국의 역할이 명시적으로 담기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안정적이고 번영하는 주권국 우크라이나에 투자하며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해 노력하고 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도 지원한다는 일반적 조항이 (협정 초안에) 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미국이 당초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에 요구한 '5천억 달러(약 716조원) 규모의 광물 자원 제공'을 포함해 우크라이나에 불리할 수 있는 일부 조항은 협정 초안에서 빠졌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희토류 등 우크라이나 광물 자원을 공동 개발하는 방안을 놓고 협상해왔다. 미국은 그간 우크라이나에 지원해온 무기 등의 대가로 희토류 개발 지분을 요구했다. 우크라이나는 공동 개발 제안을 받아들이되 러시아군의 위협으로부터 자국 안보를 지키도록 앞으로도 보장해 달라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신속한 협상 타결을 요구해왔으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세부사항에 이견을 드러냈다. 양국은 우크라이나의 광물 자원을 함께 개발해 수익을 공동 기금화한다는 데 대체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의안에서 빠졌다는 '5천억 달러' 부분은 미국이 당초 요구한 보장 수익과 관련이 있다. 미국은 광물 개발 수익이 5천억 달러에 이를 때까지는 미국이 기금의 100% 지분을 갖겠다는 취지로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과 관련, "우리는 그 돈을 돌려받길 원한다고 말해왔다"며 "미국과, 미국의 돈 및 군사장비 지원이 없었다면, 이 전쟁은 매우 짧은 시간에 끝났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을 위한 평화유지군 문제와 관련한 질문에 "우크라이나에는 모든 이가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평화유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를 언급, "푸틴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 일상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것 같았다"고 전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