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군사독재 경험으로 사회계층에 대한 문제의식 내면화"

"사람들의 행동 이유 묻다 보면 자연스럽게 계층 문제 건드리게 돼"

 

자본주의의 병폐와 계층 문제를 꾸준히 풍자해온 봉준호 감독이 성장기에 경험한 군사 독재가 자신의 작품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봉 감독은 22일(현지시간) 공개된 영국 일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최신작 '미키 17'와 관련해 이같이 소개했다.


봉 감독의 첫 할리우드 영화인 '미키 17'은 2054년의 미래를 배경으로 얼음으로 뒤덮인 우주 행성 개척에 투입된 복제인간의 이야기다. 주인공 미키는 임무 수행 중 죽을 때마다 첨단 기술을 통해 복제 인간으로 되살아나 다시 일터로 투입된다.


무한히 대체 가능한 주인공과 같은 복제인간은 사회 하층인 노동자들로부터도 무시당하는 가장 낮은 계층이다. 주인공은 처음에는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등 어리숙한 모습을 보이지만,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마음속에 계급의식이 싹튼다.


이에 대해 봉 감독은 "주인공은 반복적으로 재생되는 존재로서,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되새길 기회를 얻게 된다"며 "그런 점에서 보면 이 영화는 성장 영화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집권할 당시 초등학생이었고, 퇴진 당시 연세대에서 사회학을 전공했다.


봉 감독은 "군사 독재 정권에서는 계층간 격차가 더 크게 벌어진다"며 "난 가장 예민한 시기에 그런 환경을 겪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런 문제의식이 내면화했다"고 소개했다.


봉 감독은 지금까지 '설국열차'(2013), '기생충'(2019) 등을 통해 사회 계층 문제를 다뤄왔다.


그는 기생충을 예로 들면서 "'왜 저 사람은 저런 식으로 행동할까'라는 질문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계층 문제를 건드리게 된다"면서 "난 항상 개인과 그들이 속한 환경에 관심을 둔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노트북을 열고 시나리오를 쓰려고 할 때마다 머리에 시위용 두건을 두르는 것은 아니다"라고 웃었다.
봉 감독은 영국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화의 대가로 꼽히는 마이크 리와 켄 로치 감독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특히 마이크 리 감독의 1990년대 작품 '네이키드'와 '비밀과 거짓말'을 언급하면서 "노동계급 인물들을 현실감 있게 그려내 감탄스러웠다"고 말했다. 봉 감독은 "나도 그분들처럼 되고 싶지만, 솔직히 요즘은 낮잠 잘 생각부터 하고 있다"며 웃었다.


한편 봉 감독은 "새로운 기술의 등장에 대해 흥분보다 불안감을 더 크게 느낀다"면서 미키 17에 등장하는 거대한 소각로 통로를 언급했다. 그는 "좁고 긴 복도나, 수직적인 구조를 가진 공간에 항상 끌린다"면서 설국열차와 '괴물'(2006) 등 과거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시킨 공간 연출을 예로 들었다. 봉 감독은 "그런 공간들은 영화 속에서 독특한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고 설명했다.(연합뉴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