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서운 혹한에는 언제 봄이오나 싶더니 어느새 봄기운이 만연하다. 개화를 앞둔 꽃봉오리를 움트게 하는 봄바람이 설렘도 안고 온다. 설렘 가득한 봄날씨를 만끽하려면 음악도 빠질 수 없겠다. 살랑이는 봄바람 불 때 들으면 좋을 인디음악, 뭐가 있을까. ■ 독보적인 음색의 10cm <폰서트> 2017년 10cm가 권정열 1인 체제에 들어선 후 처음 발매한 정규 앨범 <4.0>의 타이틀곡이다. 멤버 탈퇴가 떠들썩하게 이뤄져 그룹의 존재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이었음에도 특유의 유머와 개성이 그대로 담겨 있다. 사랑하는 연인에게 전화를 걸어 ‘너’만을 위한 ‘콘서트’처럼 노래를 불러주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실제로 앨범 발표 후 한 명의 관객에게만 노래를 들려주는 특이한 공연을 펼쳐 화제를 모았다. 코로나19로 콘서트에 가지 못하는 상황에 10cm의 ‘폰서트’로 아쉬운 마음을 달래보는 건 어떨까. 이건 세상에서 제일 비싼 단독 공연가수는 나고 관객은 너 하나화려한 막이 이제 곧 올라가기 전에그저 몇 가지만 주의해줘요 세상에서 제일 편한 옷을 갈아 입고제일 좋아하는 자리에 누워배터리가 바닥나지 않게 조심하고통화상태를 항상 유지해줘요 듣고 싶은 노래를 말
비 오는 날 파전이 생각나는 이유는 고소한 기름에 부침개를 부치는 소리가 빗소리를 닮아서라고 한다. 같은 이유에설까. 비 오는 날 생각나는 노래가 있다. 도로 위 차문을 때리는 빗줄기, 지붕을 적시는 빗방울은 어쩐지 드럼 소리를 닮았다. 통통 튀는 게 꼭 젬베 같기도 하다. 장구소리도 겹친다. 쉼 없이 떨어지는 작은 물방울이 모여 변화무쌍한 타악기가 된다. 비는 맞기 싫어도 감성에는 젖고 싶다면 꼭 들어봐야 할 인디음악을 추천한다. ■ 독보적인 음색 김수영 <비워내려고 합니다> 김수영은 대중들에게 친숙한 아이유의 ‘좋은날’, Sting의 ‘Englishman in New York’ 등을 커버해 유튜브에서 입소문을 타며 정식 가수로 성장했다. ‘비워내려고 합니다’는 매직스트로베리사운드에 소속한 후 처음 발표한 곡이다. ‘사랑이 아님을 깨닫고 사랑했던 마음을 비우겠다’는 감정을 담은 곡인 ‘비워내려고 합니다’는 매력적인 김수영의 보이스를 비롯해 뮤직비디오 또한 몽환적인 느낌으로 완성했다. 블루스 분위기의 멜로디와 중저음의 감미로운 음색이 더해져 슬픈 가사를 돋보이게 한다. 날 사랑하겠대 좋아하겠대내가 하는 뭐든 다 너무 좋대서서히 나 너에게 빠져드는데
여성의 경우 직업 앞에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젠더의식의 부재는 여전히 만연하다. 인디신에서도 유독 여성 인디 뮤지션에게는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왔다. 남성 뮤지션은 ‘남성 뮤지션’이라 부르지 않는데 왜 여성 뮤지션만 ‘여성 뮤지션’, ‘여성 싱어송라이터’라는 사실을 강조하는지 의구심을 품어봤다면 독립 음악 산업 구조 속 소비되는 여성의 이미지를 유추해볼 수 있다. 특히 10여 년간 사용돼 온 ‘홍대 여신’은 인디신 내 여성의 입지를 여실히 드러내는 수식어다. 이는 뮤지션의 다양한 모습과 전문적인 음악성을 ‘여신’이라는 외적 평가요소로 압축한 전형적인 대상화다. 이런 입지를 타개하기 위해 뮤지션과 그 음악 자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라온미디어는 인디 뮤지션 중에서도 여성을, 그중에서도 음악성을 조명하는 별도 섹션을 마련하고 실력파 뮤지션을 발굴한다. [편집자주] 유튜브서 시작된 ‘온라인 탑골공원’이 입소문을 타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1020세대에게는 신선한 과거의 가요계를 엿볼 수 있고 3040세대에는 추억의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점이 인기의 이유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요계는 현재 뉴트로(New-tro) 열풍이 불고 있다. 뉴트
독립 음악(Independent music·indie)을 뜻하는 ‘인디’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음반 제작부터 유통, 홍보까지 진행하는 뮤지션의 음악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인디 음악과 언더그라운드 또는 비주류 음악의 경계가 모호해 용어를 혼동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알고 보면 국내에는 사실상 인디 음악이 전무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인디라며 활동하지만 사실상 메이저의 ‘아류’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본래 인디와는 달리 음반 제작 방식이며 유통, 홍보에 이르기까지 독자적인 방법이란 찾아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음원 시장의 유통구조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과거 CD시대 등 음반 시대를 지나 음원으로 대체되면서 대중들은 음원 공급 플랫폼에 가입해 스트리밍, 다운로드 형태로 음악을 감상한다. 소비자는 결제만 하면 원하는 음악을 쉽게 들을 수 있지만 공급 과정의 이면에는 다소 복잡한 유통 구조가 얽혀있다. 음원 공급 과정을 살펴보면 ‘음원 권리사’, ‘음원 유통사’, ‘음원 서비스업체’ 경로를 거쳐 제작자에서 소비자로 연결된다. 즉, 음원이 작곡자에서 리스너에게 도달하는 과정에 반드시 유통사가 붙는 구조다. 이런 음원 유통사의 주된 수입원은 중간 수수료기 때문에 ‘
하루의 시작을 여는 바쁜 직장인의 출근길, 시작부터 고되기 짝이 없다. 사무실을 향하는 여정만으로도 지쳐버린다. 이럴 때 음악만큼 효과적인 치료제가 또 있을까. 콩나물 시루처럼 빽빽한 지옥철 속이든 인파로 북적이는 인도 위에서든 클랙슨(경음기) 소리에 짜증이 솟구치는 도로에서든 ‘힐링’이 필요하다. 묵직한 추를 매단 듯 무거운 발걸음을 가볍게 만들어줄 인디음악, 뭐가 있을까. 후추스 (사진=지니뮤직) ■ 독보적인 퍼포먼스 후추스 <무한대> 원맨밴드 후추스는 지난 2013년 CJ문화재단 튠업 뮤지션 13기에 뽑혀 음악활동을 시작했다. 2019년 발매한 정규 2집 <너의 일부>에는 애리, 프롬 등 동료 뮤지션들이 대거 참여해 화제를 모았다. 수록곡 ‘무한대’는 은밀한 모험같은 사랑의 시작을 담은 곡이다. 경쾌한 리듬이 리스너들의 귀를 즐겁게 한다. 잔잔하게 시작해 점점 발랄한 감성으로 이어지는 멜로디가 발걸음이 가볍게 만든다. 그대와 난 둘이 길고 긴 어둠을 지나낯선 정원의 태양 그 아래 드러누워요 그대의 입김은 (후-) 시린 가슴을 녹이고반짝이던 비밀의 숲에 은밀하게 새겨진 건 난 더 느끼고 싶어요 천천히 다가와 줘요순간을 놓치기 싫어요우
IMF 사태로 인해 대중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인디음악은 디지털 시대인 2000년대로 넘어오게 된다. 2000년대에는 컴퓨터공학의 발전으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녹음을 쉽게 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뮤지션들은 자신의 음악을 대중에게 알릴 기회가 많아졌다. ▉ 인디음악의 위기를 가져온 ‘카우치 사건’ 대중에게 조금씩 인지도를 쌓아가며 인디음악이 자리를 잡을 때쯤, 그 흐름에 제동을 거는 사건이 발생한다. 2005년 MBC 생방송 ‘음악캠프’에서 인디밴드 ‘카우치와 스파이키 브랫츠’라는 인디밴드가 성기 노출을 한 일명 ‘카우치 사건’이다. 당시 인디밴드는 공중파 방송에 출연하기가 어려웠는데, 인디음악의 좋은 점을 대중에게 알리고 싶어 생소한 인디뮤지션을 소개하는 코너를 새로 만들었다고 한다. 모처럼 만든 인디밴드 도약의 장에서 카우치는 재를 뿌리고 만다. 그의 노출 장면은 전국적으로 생방송되며 역대급 방송사고로 물의를 빚었다. 이 사건으로 지상파 방송국 3사에서는 인디밴드 출연을 금지시켰고, 노출사건과 관련해 공연 팀들을 조사했다. 퇴폐 공연과 불법 공연을 하는 곳을 점검하고 홍대 라이브 클럽을 중점으로 수사를 확대하라는 방침을 발표해 경찰 단속을 대대적으로
여성의 경우 직업 앞에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젠더의식의 부재는 여전히 만연하다. 인디신에서도 유독 여성 인디 뮤지션에게는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왔다. 남성 뮤지션은 ‘남성 뮤지션’이라 부르지 않는데 왜 여성 뮤지션만 ‘여성 뮤지션’, ‘여성 싱어송라이터’라는 사실을 강조하는지 의구심을 품어봤다면 독립 음악 산업 구조 속 소비되는 여성의 이미지를 유추해볼 수 있다. 특히 10여 년간 사용돼 온 ‘홍대 여신’은 인디신 내 여성의 입지를 여실히 드러내는 수식어다. 이는 뮤지션의 다양한 모습과 전문적인 음악성을 ‘여신’이라는 외적 평가요소로 압축한 전형적인 대상화다. 이런 입지를 타개하기 위해 뮤지션과 그 음악 자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라온미디어는 인디 뮤지션 중에서도 여성을, 그중에서도 음악성을 조명하는 별도 섹션을 마련하고 실력파 뮤지션을 발굴한다. [편집자주] ‘일렉트로닉 뮤직’이란 신디사이저, 드럼머신 등 전자 악기를 주로 사용해 고유한 패턴을 변형시키면서 반복하는 음악을 묶어 이르는 말이다. 어쿠스틱 악기에 익숙했던 대중에겐 다소 생소할 수 있다. 또 대부분 리스너에게 일렉트로닉은 굵직하고 직선적이며 날카롭게 귀에 꽂히는 음악이라는
시대가 변하면서 다양하고 새로운 매체가 활성화됐다. 그중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발달은 자본과 전문시설이 부족한 인디음악의 홍보 시스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과거 인디뮤지션 1세대는 전봇대에 포스터를 붙이는 정도가 홍보의 전부였다. 현재는 인디뮤지션들 뿐만 아니라 주류 기획사도 대중성 확보를 위해 온라인과 모바일상 SNS 경로를 통한 상호적이고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벌인다. █ 대중성 확보를 위한 SNS 홍보마케팅 당초 고전적인 매체를 통한 홍보는 인디뮤지션에게 그림의 떡에 가까웠다. '자본'이라는 1차원적 장벽이 가로막았기 때문. 오늘날 온라인 기술력의 가파른 발전이 있고 나서야 이들에게 홍보라는 비좁은 문을 통과하는 프리패스권이 생겼다. SNS 기술 발전은 많은 인디 뮤지션이 자신의 음악을 손쉽게 세상에 알리도록 했다. SNS는 이용자 관계망 속에서 소비자와 생산자를 밀접하게 엮어 상호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미디어다. 인터넷망만 있다면 자유롭게 자신의 음악을 공개하고, 리스너와 뮤지션이 소통하며 시장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 전 세계 인구 45%가 사용하는 SNS 미 시장분석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현재 약 34억
다수 대학이 K-pop 인기 상승에 실용음악과를 신설했으며 매년 3000여명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다. 이 많은 졸업생은 포화 상태인 가요계 입성을 위해 기획사 연습생으로 들어가거나 오디션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제한적인 기회 속에서 성공은 둘째치고 대중들에게 이름조차 알리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진입장벽이 다소 낮은 인디 음악씬으로 출발점을 정하는 뮤지션이 많아졌다. ■인디 뮤지션의 음악 활동 대형기획사에 들어가지 못한 수많은 뮤지션은 어떤 전문적인 서포트와 자본 없이 1인 레이블이나 간단한 홈 리코딩으로 작업해 인디 음악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소수 기획사가 장악한 대중음악 속에서 인디 음악은 음악 산업 저변 확대와 다양성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음악 활동을 영위하기에는 많은 사회적 경제적 허들이 존재한다. 인디뮤지션들의 음악 활동 횟수는 곧 이들의 수입이다. 공연과 행사가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수입 배분에 분쟁이 끊임없다. 대부분이 열악한 음악 활동 실정을 무저항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홍대 일대에서 활동하는 인디밴드 액시머는 "인디 음악 활동을 하고 5년까지는 공연·버스킹·행사 등 모든 활동
1990년대는 매체의 격변기다. 컴퓨터가 주요 매체가 되면서 인디음악의 향유에도 변화가 생겨났다. 하이텔, 천리안, 나우누리 등 대표적인 PC통신에는 음악 애호가들 이를 매개로 동호회를 형성했다. 허술한 장비가 있는 클럽에 밴드들이 등장하고, 전봇대에는 공연포스터가 붙기 시작했다. 그리고 음반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렇게 동호회의 음악 애호가들은 인디뮤지션이 됐다. 크라잉넛, 델리스파이스, 자우림, 노브레인(사진=록스타뮤직앤라이브) ▉ 인디밴드의 다양성과 창의성 인디뮤직은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한 시기에 거대자본과 스타 양산 시스템인 주류와는 달리 자신들의 음악 세계를 ‘음악의 진정성’이라는 정의 하에 대안적인 시스템으로 출발한 개념이다. 홍대 주변에서 실험적인 음악을 하며 소규모 공연과 입소문으로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얻었다. 이에 홍대 일대는 ‘크라잉넛’, ‘노브레인’과 같은 1세대 밴드를 중심으로 펑크 록 공연 장소로써 이에 영향을 받은 인디밴드들이 합세해 오늘날 '버스킹'의 주 활동 무대로 자리매김했다. 한 잡지사에서 주최한 ‘스트리트 펑크 쇼’는 당시 대중들 사이에 새로운 음악 스타일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인디밴드의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냈다. 공연장에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