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암미술관 '연꽃처럼' 기획전 관람객 6만명 돌파

한중일 3국 불교 미술 여성 키워드로 조명
해외 미술 걸작품 92점 한자리···16일 폐막

 

동아시아 불교미술 기획전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이하 연꽃처럼)' 관람객이 6만명을 돌파했다.


이번 기획전은 호암미술관의 첫 고미술 기획전이자 한국과 일본, 중국 3개국의 불교미술을 '여성'이라는 키워드로 조명한 세계 최초의 전시다.


연꽃처럼 기획전은 개막(3월 27일) 소식이 알려지면서 큰 관심을 받았다. 


이번 기획전은 한국과 일본, 미국, 유럽에 소재한 27개 컬렉션에서 불교 미술 걸작품 92점(한국 48점, 중국 19점, 일본 25점)을 한자리에 모았다. 92점 중 한국에 처음 들어온 작품만 47점에 달한다.


7세기 중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관음보살입상'은 이번 기획전을 통해 일반인에게 최초로 공개됐다. 해외 개인 소장가로부터 대여해 온 작품이다.


삼성문화재단이 소장하고 있는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1-7', '아미타여래삼존도', '아미타여래도', '석가여래설법도' 등 4점도 이번 전시를 통해 일반에 최초로 공개됐다.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소장 '수월관음보살도' 같은 고서화도 전시되고 있다. 한번 전시되면 상당 기간 작품 보존을 위해 의무적인 휴지기가 필요할 만큼 전시 기회 자체가 드묾다는 점에서 많이 이들이 고서화를 직접 보기 위해 호암미술관을 찾았다.

 


또 고려시대 국보급 작품 나전 국당초문 경함도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전세계 단 6점만 남아 있는 진귀한 작품이다.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불설대보부모은중경', '궁중숭불도', '자수 아미타여래도' 등도 함께 전시되고 있다.


연꽃처럼 기획전은 오는 16일 폐막한다. 3월 27일 개막 후 지난달 말까지 모두 6만명이 기획전을 찾았다. 하루 평균 관람객 수가 1000명이 넘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5번이나 기획전을 찾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해외 주요 외빈과 함께 기획전을 찾아 한국 전통문화를 소개하고 국내 문화 및 예술 발전에 대한 삼성의 노력과 기여를 설명했다는 후문이다.


이솔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미술학과 교수는 "불교미술 전시에서 볼 수 없었던 공간 연출이 매우 인상적"이라며 "곡선으로 연출한 관음보살도 공간에 이어 직선으로 구획된 백자 불상(백자 백의관음보살 입상) 공간이 이어지는 연출이 현대미술 전시장을 보는 것 같이 신선했다"라고 평가했다.


이데 세이노스케 일본 규슈대 교수는 "귀중한 작품들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재회해 한자리에 늘어선 모습이 장관이었다"며 연구자들의 염원을 이뤄 준 전시회라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