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올해 금값 전망치를 낮춰 잡았다. 올해 금값이 온스당 3천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작년 11월 예측했으나 이제는 내년 중반에 가서야 3천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을 수정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 보도했다. 올해 말 전망치는 온스당 2천910달러로 수정했다. 전망을 조정한 것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 폭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골드만삭스는 설명했다. 미국 대선 이후 불확실성이 줄면서 금 기반의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자금 유입이 줄어든 것도 전망을 낮춘 요인이 됐다. 리나 토마스 등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금리인하 속도가 둔화하면 금 수요도 위축될 것으로 봤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투기 수요는 감소한 반면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수세는 강해졌다"면서 "이런 요인이 서로 상쇄돼 금값은 지난 수개월간 박스권에서 움직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국 중앙은행들의 매수세는 장기적으로 금 가격 상승의 주요 동인이 될 것"이라면서 "중앙은행들은 2026년 중반까지 월평균 38t을 매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 가격은 지난해 미국의 완화적 통화정책과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 각국 중앙은행
지난해 1월 5일(현지시간) 177명을 태우고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이륙한 알래스카 항공 1282편이 약 5천m 상공을 비행하던 중 동체 옆면 일부가 뜯겨 나가는 사고가 발생했다. 하마터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뻔한 문제의 항공기는 보잉 737 맥스9 기종이었다. 다행히 여객기가 이륙 직후 비상 착륙하면서 인명피해는 없었다. 이 사고 후 세계 최대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은 1년간 미 당국의 강도 높은 조사를 받는 등 잇단 시련을 겪었다.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의 예비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항공기 제조 과정에서 중간 비상구 도어 플러그를 동체에 고정하는 주요 볼트 3개를 끼우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사실이 드러나면서 보잉의 이미지는 크게 실추됐다. 보잉 경영진은 제조 현장에 대한 관리 강화 등을 내세우며 쇄신을 약속했지만, 임금과 처우 등에 불만을 품은 공장 노동자들이 두 달 가까이 파업을 벌이면서 회사는 더 흔들렸다. 노동자들의 파업은 4년간 급여 38%를 인상하는 조건으로 작년 11월 종료됐다. 이런 악재들로 보잉 주가는 지난 1년간 32%나 하락했다. 같은 기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27% 상승한 것과 비
작년 말 세계 최고령자였던 이토오카 도미코(일본·향년 116세) 별세 이후 새로운 세계 최고령자는 브라질 출신 축구팬인 카톨릭 수녀로 확인된다고 장수 노인 연구단체 론제비퀘스트가 5일(현지시간) 밝혔다. 론제비퀘스트는 홈페이지에서 이나 카나바호 수녀가 이날 기준 116세 211일을 살았다며, 전 세계에서 가장 나이 많은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AP통신도 론제비퀘스트 데이터를 인용, "117세에 가까워진 카나바호 수녀가 현재 최고령자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1908년 6월 8일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州)에서 태어난 카나바호 수녀는 10대 때부터 종교 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브라질 매체 G1은 카나바호 수녀가 현재 히우그란지두술 중심 도시인 포르투알레그리에 있는 테레사수녀회 수녀원에서 살고 있다면서, 지난해 10월 1일 노인의 날을 맞아 가진 인터뷰에서 휠체어를 탄 모습으로 올해 자신의 나이에 대해 "조금 먹었어요. 116세"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110번째 생일을 맞아 프란치스코 교황으로부터 축하받기도 했다. 지난 2월 브라질 수녀원 측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카나바호 수녀는 사람들과 농담을 주고받거나 야생화를 소재로 한 그림을 공유하는 모습을 볼
2025년 가톨릭 희년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성문(聖門)이 열렸다. 5일(현지시간) 가톨릭 전문매체 알레테이아에 따르면 미국 출신의 제임스 마이클 하비 추기경이 이날 바티칸 성벽 외곽의 성 바오로 대성전의 성스러운 문을 열었다. 하비 추기경은 "성문의 개방은 그리스도가 성육신, 죽음, 부활을 통해 열어준 구원의 통로를 상징한다"며 "이 의식은 교회의 모든 구성원이 하느님, 이웃과 화해하도록 초대한다"고 밝혔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달 24일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의 성문을 개방하고 2025년 가톨릭 희년의 시작을 알렸다. 교황은 이틀 뒤에는 이탈리아 로마의 레비브비아 교도소를 방문해 가톨릭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교도소에서 성문을 열었다. 이후 로마의 주요 대성전에서 진행된 성문 개방 예식은 각 대성전의 고위 성직자들이 주관했다. 지난달 29일 성 요한 라테나노 대성전의 성문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로마 교구 총대리인 발도 레이나 추기경이 열었다. 지난 1일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성문 개방 예식은 대성전 부수석사제 롤란다스 마크리츠카스 추기경이 담당했다.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성문인 성 바오로 대성전의 성문 개방 예식은 대성전 수석사제 하비 추기경에 의해
5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뉴욕시 맨해튼 도심부로 진입하는 승용차에 혼잡통행료 최고 9달러(약 1만3천원)가 부과된다. 뉴욕 메트로폴리탄교통국(MTA)은 5일 0시 부로 맨해튼 60번가 이남 도심부에 진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혼잡통행료 징수 프로그램을 개시한다고 4일 밝혔다. 통행료 수준은 진입하는 차량 종류와 시간에 따라 다르게 책정됐다. 일반 승용차 기준으로 혼잡 시간대 9달러, 야간 시간대 2.25달러(약 3천300원)가 부과된다. 맨해튼 도심부와 연결되는 유료 터널로 진입 시에는 혼잡통행료가 일부 감면된다. 뉴욕시는 혼잡통행료 부과를 통해 도심부 교통 정체가 감소하고 MTA의 재정난을 타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MTA는 혼잡통행료 수입을 기반으로 채권을 발행해 약 150억 달러(약 22조원)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MTA는 마련된 재원으로 노후화된 지하철 노선을 보수하는 등 대중교통 시스템 확장할 방침이다. 앞서 뉴욕시는 지난해 6월 말 혼잡통행료 징수를 개시할 계획이었으나,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서민층 부담을 이유로 들어 지난해 6월초 시행을 보류한 바 있다. 당시 호컬 주지사의 갑작스러운 결정을 두고 대선을 고려한
'축구의 신'으로 불리는 리오넬 메시가 미국 대통령이 일반 시민에게 주는 최고의 영예인 '대통령 자유의 메달' 수훈자로 선정됐다. 4일(현지시간) 백악관 보도자료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미국 프로축구 인터 마이애미에서 뛰고 있는 메시와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민주당의 오랜 후원자인 억만장자 펀드매니저 조지 소로스, 패션 디자이너 랄프 로렌, 록스타 U2의 보노, 배우 마이클 J. 폭스, 왕년의 농구스타 매직 존슨 등 19명을 '대통령 자유의 메달'(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수여 대상자로 발표했다. 대통령 자유의 메달은 미국의 안보와 국익, 세계 평화, 문화예술 등 분야에서 탁월한 공적으로 쌓은 인물에게 매년 대통령이 수여하는 최고의 훈장이다. 이 가운데 메시의 경우 남자 축구선수로는 최초로 미국 대통령 자유 메달을 받는 것이며, 아르헨티나 국적자로서도 최초라고 아르헨티나 일간 클라린, 암비토 등이 보도했다. 메시는 그의 성공적인 축구선수 커리어로 월드컵, 올림픽 금메달, 발롱도르 등 수많은 상을 받았는데, 이번 상은 그 수여자가 미국 대통령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고 현지 언론은 강조했다. 메시의 경우 축구선수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이달 20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준비를 위해 100만 달러(약 14억7천만원)를 기부할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관련 사정에 밝은 소식통을 인용, 쿡 CEO가 트럼프 취임위원회에 개인적으로 100만 달러(약 14억7천만원)를 기부하기로 했다고 3일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앨라배마 출신인 쿡은 (대통령) 취임식이 위대한 미국의 전통이라고 믿고 있으며, 통합의 정신으로 취임식에 기부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애플 회사 차원에서의 기부금은 따로 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쿡 CEO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부터 트럼프 당선인과 개인적 관계를 다져온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대선 직후인 지난달 13일에는 플로리다 마러라고 자택을 방문해 트럼프 당선인을 면담하고 저녁을 함께 하기도 했다. 악시오스는 "이번 기부는 지난달 마러라고에서의 만찬과 1기 집권 당시 있었던 많은 만남을 통해 구축된 트럼프와 쿡의 오랜 협력관계를 반영한 것"이라고 적었다. 미국 빅테크 업계의 다른 거물들도 잇따라 트럼프 취임위원회에 거액을 내놓고 있다.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이
야구 국가대표 내야수 김혜성(25)이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디펜딩챔피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계약을 체결했다. 김혜성 소속사인 CAA 관계자는 4일(한국시간) 김혜성이 다저스와 3+2년 최대 2천200만달러(약 324억원)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보장 계약은 3년 총액 1천250만달러(약 184억원)이며, 이후 2년 계약을 연장하는 옵션이 포함돼 있다. CAA 측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에서는 5년 2천800만달러를 제시했고, 이외에 시애틀 매리너스, 시카고 컵스, 샌디에이고 파드레스에서도 제의했으나 다저스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CAA에 따르면 마이너리그 거부권은 계약에서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김혜성은 다음달 시작될 스프링캠프에서 치열한 생존 경쟁을 이겨내야 진짜 빅리거가 될 수 있다. AP통신과 MLB닷컴 등 미국 매체에서도 김혜성의 계약을 확인했다. MLB닷컴은 "다저스 구단은 아직 계약을 확정하지 않았고, MLB 사무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혜성은 2017년 넥센(현 키움) 히어로즈에 입단해 8시즌 통산 953경기에 출전, 타율 0.304에 안타 1천43개, 37홈런, 211도루를 남겼다. 2024시즌에는 타율 0.3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주가가 작년 인도량 실적 부진에 따른 우려를 딛고 3일(현지시간) 큰 폭으로 반등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8.22% 오른 410.44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381.48달러로 출발한 주가는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리며 상승 폭을 키웠다. 새해 첫 거래일이었던 전날 6.1% 하락해 379.28달러로 고꾸라졌으나, 하루 만에 하락분을 모두 되돌렸다. 전날 주가 급락에는 테슬라의 작년 연간 전기차 인도량(178만9천226대)이 전년(180만8천581대)보다 감소했다는 발표가 영향을 줬다. 테슬라의 연간 인도량이 감소한 것은 역대 처음이었다. 하지만 월가에서는 올해 신차 출시와 자율주행·인공지능(AI)·로봇 등 사업으로 테슬라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낙관론이 다시 힘을 얻었다. 미 금융매체 배런스에 따르면 투자회사 캐너코드 제뉴이티의 애널리스트 조지 지아나르키아스는 테슬라의 목표주가를 종전 298달러에서 404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매수' 등급을 유지했다. 그는 테슬라의 신차 출시 등을 이유로 들며 "예상보다 약한 인도량에도 우리는 '매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테슬라는 자율주행·AI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달·화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우주선 스타십의 일곱번째 지구궤도 시험비행에서 우주에 모의 위성을 배치하는 실험을 처음으로 시도한다. 스페이스X는 3일(현지시간) 자사의 웹사이트에 스타십의 7차 시험비행 계획을 알리면서 "스타십은 위성 배치 임무의 첫 번째 연습으로 차세대 스타링크 위성과 크기와 무게가 비슷한 10개의 스타링크 시뮬레이터를 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페이스X는 이 스타링크 시뮬레이터들이 스타십과 동일한 궤도에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회사 측은 이번 시험비행에서 상당하게 업그레이드한 차세대 우주선을 발사하고, 우주선을 지상에서 포획해 재사용하기 위한 여러 실험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스페이스X는 7차 시험비행 일정을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30일 엑스(X·옛 트위터)에서 스타십 7차 시험비행 일정에 대한 질문에 "(1월) 10일"이라고 밝혔다. 앞서 스페이스X는 지난 2023년 4월부터 스타십 지구궤도 시험비행을 시작해 지난해 11월까지 6차례의 시험비행을 벌였다. 이 가운데 작년 10월 5차 비행에서는 메카질라(Mechazilla)로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