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중은행의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가 기존의 절반 수준으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주요 가계대출의 ‘관리 고삐’가 더욱 조여지면서 실수요자들의 체감 대출문턱 역시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은 최근 금융당국에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치를 제출했다. 지난 6월 27일 발표된 정부 ‘가계부채 관리 방안’ 취지에 따라 각 은행은 올해 초 연간 대출 증가액 계획의 절반 수준까지 목표를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5대 은행의 2025년 연간 가계대출 증가 목표(정책대출 제외)는 약 14조 5000억원이었고, 이 가운데 하반기 목표치는 약 7조 2000억원으로 잡혀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제출된 하반기 목표는 3조 6000억원 수준으로 확 줄었다. 이는 기존 하반기 계획의 절반, 연초 대비로도 크게 낮아진 규모다.
아직 은행별로 세부 목표는 금융당국과 조율 중이지만, 업계에서는 당국과 은행권의 강도 높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 기조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대출 수요자들에게는 곧바로 ‘대출 문턱’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은행들의 총량 관리 압박이 강해질수록 신용도가 낮거나 다주택자 등 규제대상자는 물론 실수요자마저 대출 한도나 조건 등에서 더 까다로운 심사를 마주하게 된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연말로 갈수록 대출 절벽 현상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폭을 절반으로 줄여야 하는 만큼, 4분기에는 목표 관리 압박이 극심해질 수 있다”라며 “속도 조절이 필요해 대출 심사가 더욱 엄격해질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정부 및 금융당국은 금리 인상 부담, 가계신용 부실 가능성, 주택시장 불안 등 리스크 요인을 고려해 하반기에도 가계부채 증가세 억제를 일관되게 추진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 같은 대출 규제 강화가 자칫 중·저신용자, 실수요자 등 취약계층의 자금조달에 큰 어려움을 줄 수 있다며 당국이 현실과 균형 잡힌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