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싱크홀 위험 '지하 공동' 올해 436곳 발견

  • 등록 2025.10.09 07:31:29
크게보기

GPR 탐사 강화…더 깊은 곳 조사하는 지반침하 관측망도 100개 추가

 

올해 들어 서울에서 지반 침하로 이어질 수 있는 지하 공동(空洞)이 436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지표투과레이더(GPR)를 이용해 시내 주요 도로와 지하 굴착공사장 인근 5천370㎞ 구간을 조사한 결과, 지하 공동 436개가 발견됐다.

 

지하 공동은 지표 하부에 생긴 공간으로, 확대될 경우 지반침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1∼3월 발견된 지하 공동은 한 자릿수였다가 시가 GPR 탐사를 강화한 4월 141개, 5월 76개, 6월 122개로 늘었다. 7월은 84개의 지하 공동이 발견됐다.

 


지난 3월 24일 강동구 명일동 땅 꺼짐(싱크홀) 사고 이후 시는 4월부터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주변과 시·자치구에서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구간에 대해 GPR 탐사를 강화했다.

 

대형 싱크홀을 예방하기 위해 점검을 강화,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한다는 취지다.

 

GPR은 땅 꺼짐 탐사 차량 아래 설치된 '리프트'에서 지하로 고주파 전자기파를 쏴,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를 바탕으로 싱크홀 위험을 탐지하는 방식이다. 지하로 내려갈수록 신호가 약해져 통상 지하 2m까지만 가능하다.

 

도로 곳곳을 이동하며 레이더로 지하 공동을 탐지할 수 있는 차량형 GPR 기기도 오는 11월 3대 추가로 도입한다.

 

내년부터는 대형 굴착공사장 주변에 대해 매주 GPR 탐사를 실시한다. 지하 2m까지만 탐사할 수 있는 GPR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반침하 관측망'도 내년에 100개 추가로 설치한다.

 

지반침하 관측망은 지하 20m에 매설된 안테나가 반경 50m 안팎의 이상 징후를 감지, 싱크홀을 탐지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대형 싱크홀은 적어도 지하 10m 아래에서 발생하는 만큼 싱크홀 사고를 막고 GPR 탐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다.

 

지반침하 관측망은 바위층이 존재하는 지하 20m에 야구 방망이 모양의 기둥형 관측기를 매설, 관측기에 달린 안테나가 반경 50m의 지층 변동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관측소에 보내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예방 중심의 지반침하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연합뉴스)

권혜진 rosyriver@raonnews.com
Copyright @2018 라온신문.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 facebook
  • youtube
  • twitter
  • 네이버블로그
  • instagram
  • 키키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