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면제 처방 12년간 4배로…코로나 시기 20대서 많아"

  • 등록 2025.08.29 11:45:36
크게보기

서울대병원·서울의대, 2010∼2022년 불면증 환자 814만명 분석

 

불면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국내 수면제 처방 건수가 12년간 4배 규모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당시 수면제 처방이 많았고, 20대 젊은 성인에서 두드러졌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유진 교수와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신애선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18세 이상 불면증 환자 813만6천437명의 수면제 처방 추이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불면증은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거나, 새벽에 일찍 깨는 증상이 반복되는 수면 장애를 통칭한다. 10명 중 3∼5명이 생애 어느 시점에서든 겪을 만큼 흔한 증상이기도 하다. 해외에선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수면제 사용이 증가했다는 연구가 나왔지만, 국내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처방 추세를 기반으로 한 예측치와 실제 처방량을 비교한 대규모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불면증 치료에 사용되는 4가지 약물(벤조디아제핀·비벤조디아제핀·저용량 항우울제·저용량 항정신병약물)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후 코로나19 유행 이전(2010∼2019년) 처방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모델을 구축한 뒤 팬데믹 기간(2020∼2021년)의 실제 처방량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수면제 처방 건수는 2010년 약 1천50만건에서 2020년 약 3천850만건, 2021년 약 4천120만건, 2022년 약 4천240만건 등 12년간 4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에서,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에서 처방이 많았다.

 

예측 모델과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실제 처방량을 비교한 결과, 모든 연령대의 수면제 처방량이 예측치를 초과했다.

 

코로나19 유행이 정점이었던 2021년 당시 18∼29세는 4가지 약물 모두에서 예측치를 가장 크게 초과했는데, 팬데믹이 젊은 성인의 수면제 사용에 미친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수면제는 졸피뎀이었고, 이어 알프라졸람과 트라조돈 순이었다.

 

이유진 교수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수면제 처방이 꾸준히 증가했고, 여성과 고령층에서 많았다"며 "팬데믹 기간에는 수면제의 처방이 예측치를 크게 웃돌고, 특히 젊은 층에서 증가 폭이 두드러진 만큼 해당 연령대를 중심으로 안전한 약물 사용 여부와 부작용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게재됐다.(연합뉴스)

권혜진 rosyriver@raonnews.com
Copyright @2018 라온신문.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 facebook
  • youtube
  • twitter
  • 네이버블로그
  • instagram
  • 키키오채널